리눅스에서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기
서버의 디스크 공간이 가득 차면 서비스 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df (disk free)
파일 시스템별로 전체 디스크 공간, 사용 중인 공간, 사용 가능한 공간, 사용률 등을 보여줍니다.
- 기본 사용법
df -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로 표시 (
-h)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KB, MB, GB)df -h - 파일 시스템 종류와 함께 표시 (
-T)df -Th - 특정 파일 시스템만 확인
df -h /dev/sda1
2. du (disk usage)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차지하는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 현재 디렉토리의 총 사용량 확인 (
-s)du -sh-s(summarize): 총합만 표시-h(human-readable): 읽기 쉬운 단위로 표시
- 특정 디렉토리의 사용량 확인
du -sh /var/log - 하위 디렉토리별 용량 함께 확인
du -h /var/log - 하위 디렉토리 깊이 지정 (
--max-depth) 1단계 하위 디렉토리까지만 용량을 표시합니다.du -h --max-depth=1 /
팁: 용량이 큰 파일/디렉토리 찾기
du와 sort, head 명령어를 조합하여 특정 경로에서 용량이 가장 큰 상위 10개 디렉토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du -h --max-depth=1 / | sort -rh | head -n 10
df와 du 명령어를 적절히 활용하면 디스크 공간 부족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서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