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서버에서 SSH 키 기반 인증 설정하기
SSH 키 기반 인증으로 리눅스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SSH 키 기반 인증으로 리눅스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원격데스크톱(RDP)의 기본 포트는 3389입니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포트를 변경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윈도우 서버를 안전하게 운영하려면 사용자 계정 관리가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서버에서 계정 생성, 권한 설정, 비밀번호 정책 관리 방법을 소개합니다.
리눅스 서버의 SSH는 외부 공격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SH 보안을 강화하는 실전 팁을 소개합니다.
Apache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웹 서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서버에서 Apache를 설치하고 기본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RockyLinux9을 설치한 직후 반드시 해야 할 기본 보안 설정 방법을 안내합니다.
윈도우 서버에서 웹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주요 서비스가 서버 재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Nginx는 가볍고 빠른 웹 서버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 서버에서 Nginx를 설치하고 기본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윈도우 서버를 안전하게 운영하려면 방화벽 설정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서버에서 기본적인 방화벽 설정 방법을 소개합니다.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는 리눅스 서버의 보안을 강화하는 강력한 접근 제어 시스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ELinux의 기본 개념과 설정, 문제 해결 방법을 안내합니다.
CentOS7과 CentOS8의 공식 지원이 종료되면서 기존 yum repository에 접근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때는 vault 저장소로 레포지터리를 변경해야 패키지 설치와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서버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려면 정기적인 백업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서버에서 자동 백업을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리눅스 서버를 안전하게 운영하려면 사용자 계정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계정 생성, 권한 관리, 비밀번호 정책 설정 방법을 안내합니다.
일본 라멘 중에서도 진한 돼지뼈 육수로 유명한 돈코츠 라멘의 본고장, 후쿠오카. 현지에서 꼭 맛봐야 할 대표적인 라멘 맛집과 특징을 소개합니다.
리눅스 서버는 다양한 로그 파일을 생성합니다. 로그가 쌓이면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므로 자동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logrotate를 활용한 자동 로그 관리 방법을 안내합니다.
윈도우 서버를 관리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가 원격 데스크톱(RDP)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서버에서 RDP를 활성화하고 접속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리눅스 서버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시스템 자원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모니터링 툴과 활용 방법을 소개합니다.
데이터베이스의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대표적인 이중화 방식인 리플리케이션(Replication)과 클러스터링(Clustering)의 차이점을 알아봅니다.
전 세계의 ‘오타쿠’를 불러 모으는 곳, 도쿄 아키하바라. 최신 전자제품부터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피규어까지 모든 서브컬처가 모여있는 곳을 탐방합니다.
현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모니터링 시스템인 Prometheus와 시각화 도구인 Grafana의 기본 개념과 구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본 여행의 특별한 경험을 원한다면, 전통적인 숙박 시설인 료칸에서의 하룻밤을 추천합니다. 다다미 방, 온천, 그리고 가이세키 요리까지 료칸의 모든 것을 알아봅니다.
전 세계 사용자에게 웹 콘텐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필수 기술, CDN의 작동 원리와 도입 시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본의 옛 수도 교토, 그중에서도 가장 교토다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기온. 전통 가옥이 늘어선 돌담길을 걸으며 게이샤와 마이코를 만날 수 있는 곳으로 떠납니다.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기본적인 보안 장비인 방화벽(Firewall)과, 침입을 탐지하고 방어하는 IDS/IPS의 역할과 차이점을 알아봅니다.
일본의 여름밤을 화려하게 장식하는 하나비(花火), 즉 불꽃놀이 축제. 유카타를 입고 즐기는 일본의 대표적인 여름 문화와 유명 하나비 대회를 소개합니다.
대규모 웹 서비스의 안정성과 가용성을 보장하는 핵심 기술인 로드밸런서의 작동 원리와 트래픽을 분산하는 다양한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봅니다.
‘먹다 망한다’는 오사카의 식문화를 상징하는 도톤보리. 화려한 네온사인 아래에서 즐길 수 있는 오사카의 대표적인 먹거리들을 소개합니다.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백업 전략의 황금률로 불리는 ‘3-2-1 규칙’의 의미와 실제 서버 환경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일본, 특히 도쿄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복잡한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충전식 교통카드 스이카와 파스모에 대해 알아봅니다.
수많은 서버가 24시간 가동되는 데이터센터에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냉각(Cooling) 시스템의 원리와 종류에 대해 알아봅니다.
일본의 봄을 상징하는 벚꽃과 그 벚꽃을 즐기는 일본의 전통 문화인 ‘하나미(花見)’에 대해 알아보고, 도쿄의 벚꽃 명소를 소개합니다.
Ubuntu/Debian 계열에서 사용하기 쉬운 ufw 방화벽의 기본 설정 및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실행하게 해주는 서버 가상화 기술의 핵심, 하이퍼바이저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봅니다.
시부야, 신주쿠와는 다른 매력을 지닌 도쿄의 힙스터 성지, 시모키타자와. 빈티지 패션, 개성 넘치는 소극장, 맛있는 카레가 있는 곳으로 떠나봅니다.
데이터센터에서 수많은 서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본 단위인 서버 랙(Rack)과 서버를 올바르게 설치(실장)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 일본의 편의점(コンビニ). 단순한 소매점을 넘어 일본인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은 편의점 문화를 소개합니다.
서버의 데이터 안정성과 성능을 좌우하는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주요 레벨(RAID 0, 1, 5, 6, 10)에 대해 알아봅니다.
윈도우 서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시스템 이벤트를 기록하고 확인하는 도구인 이벤트 뷰어의 기본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리눅스 서버의 디스크 공간을 관리하기 위해 전체 파일 시스템의 사용량과 특정 디렉토리의 용량을 확인하는 df와 du 명령어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윈도우 서버의 내장 하이퍼바이저인 Hyper-V를 사용하여 가상 머신(VM)을 생성하고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기본 과정을 알아봅니다.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컴퓨터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고 관리하는 DHCP 서버를 윈도우 서버에 설치하고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네트워크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핵심 서비스인 DNS 서버를 윈도우 서버에 설치하고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윈도우 서버 관리를 자동화하는 강력한 셸 및 스크립팅 언어인 PowerShell의 기본 문법과 간단한 스크립트 작성법을 알아봅니다.
윈도우 서버의 기본 웹 서버인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설치하고 간단한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Active Directory 환경에서 사용자 및 컴퓨터의 설정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강력한 도구인 그룹 정책(GPO)의 기본 개념을 알아봅니다.
윈도우 서버 환경의 핵심인 Active Directory 도메인 서비스(AD DS)를 설치하고 기본 도메인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어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구축, 테스트 및 배포할 수 있는 컨테이너 기술인 Docker의 기본 개념과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리눅스 서버에 Samba를 설치하여 윈도우와 리눅스 운영체제 간에 파일 및 프린터를 쉽게 공유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는 프로토콜인 NFS(Network File System) 서버를 리눅스에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systemd 환경에서 중앙화된 로그 관리 시스템인 journald의 로그를 조회하고 분석하는 journalctl 명령어의 활용법을 알아봅니다.
최신 리눅스 배포판의 표준 시스템 및 서비스 관리자인 systemd와 systemctl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물리적 디스크를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LVM(Logical Volume Manager)의 기본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해 알아봅니다.
리눅스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를 효율적으로 동기화하고 백업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인 rsync의 기본 사용법을 알아봅니다.
리눅스의 작업 스케줄러인 Cron을 사용하여 특정 시간에 원하는 명령이나 스크립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리눅스 서버의 성능 문제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필수 명령어들을 알아봅니다.
Fail2Ban을 설치하고 설정하여 SSH 등 서비스에 대한 무차별 대입 공격(Brute-force attack)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AMP 또는 APM은 Apache, PHP 및 MySQL 툴킷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솔라리스에서는 AMP라는 패키지 그룹으로 Pre-Build 되어 있습니다. 솔라리스에서는 앞서 나열한 3가지의 패키지와 관련된 모든 관련 패키지를 레포지토리에서 자동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
Import the Elasticsearch GPG Key
최신버젼의 MariaDB를 설치하기 위한 Repository 자동설치 커맨드를 실행 # curl -sS https://downloads.mariadb.com/MariaDB/mariadb_repo_setup | sudo bash 기타 버젼의 설치를 위한 개별 repositor...
아래 커맨드를 입력하여, yum의 base repository를 mirror.centos.org에서 vault.centos.org로 변경 # sed -i -e "s/^mirrorlist=http:\/\/mirrorlist.centos.org/#mirrorlist=http:\/\/m...
php설치를 위한 repository 작업
php설치를 위한 repository 작업
RHEL을 비롯한 CentOS나 RockyLinux등의 기본 레포지터리에서 제공하는 nginx패키지는 old stable로, 최신기능을 필요로하는 경우에 다소 아쉬운점이 있습니다.
SELinux 비활성화 커맨드 sudo grubby –update-kernel ALL –args selinux=0
아래와 같이 GRUB_CMDLINE_LINUX에 ipv6.disable=1 을 추가 # cat /etc/default/grub GRUB_TIMEOUT=5 GRUB_DEFAULT=saved GRUB_DISABLE_SUBMENU=true GRUB_TERMINAL_OUTPU...
일반적인 특수문자의 경우 \ (backslasH) 를 앞에 붙여 특수문자에 붙어 있는 의미를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간혹 \ 를 붙여도 지울 수 없는 특수 문자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파일이 있다면.. # ls -1 -?+?.PNG -?+?111.PNG...
리눅스에서 디스크 복구 방법
ls -1 *.png sort -V
일본에서 웹사이트를 운용해야하는 필요성이 있으나 언어와 결제의 장벽에 가로막혀 일본의 웹호스팅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었던 분들을 위하여, 사쿠라IDC에서 한국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쿠라호스팅 서비스를 론칭했습니다.
사쿠라 호스팅이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