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 분 소요

NFS를 사용하면 원격 서버의 디렉토리를 로컬 디렉토리처럼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어, 여러 서버 간에 파일을 공유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1. NFS 서버 패키지 설치 (서버 측)

# RHEL/CentOS 계열
sudo dnf install nfs-utils -y

# Ubuntu/Debian 계열
sudo apt-get install nfs-kernel-server -y

2. 공유할 디렉토리 생성 및 설정 (서버 측)

# 공유할 디렉토리 생성
sudo mkdir -p /data/nfs_share

# 소유권 및 권한 설정
sudo chown nobody:nobody /data/nfs_share
sudo chmod 777 /data/nfs_share

3. NFS 공유 설정 (서버 측)

/etc/exports 파일에 공유할 디렉토리와 접근을 허용할 클라이언트 정보를 추가합니다.

sudo vi /etc/exports
/data/nfs_share 192.168.0.0/24(rw,sync,no_root_squash)
  • /data/nfs_share: 공유할 디렉토리
  • 192.168.0.0/24: 접근을 허용할 클라이언트 IP 대역
  • rw: 읽기/쓰기 가능
  • sync: 쓰기 작업 시 디스크에 즉시 기록
  • no_root_squash: 클라이언트의 root 사용자를 서버의 root 사용자로 매핑

설정 후 NFS 서비스를 시작하고 설정을 적용합니다.

sudo systemctl enable nfs-server --now
sudo exportfs -a

4. NFS 클라이언트 설정 (클라이언트 측)

NFS 클라이언트 패키지를 설치하고 서버의 공유 디렉토리를 마운트합니다.

# 패키지 설치
sudo dnf install nfs-utils -y

#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
sudo mkdir -p /mnt/nfs

# 마운트
sudo mount -t nfs 192.168.0.100:/data/nfs_share /mnt/nfs
  • 192.168.0.100: NFS 서버의 IP 주소

NFS를 이용하면 중앙 집중식 파일 서버를 구축하여 데이터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습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