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 소요

한국에 있는 서버의 웹 사이트를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미국이나 유럽의 사용자가 접속하면, 데이터가 전달되는 거리가 길어져 속도가 느려질 수밖에 없습니다.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입니다.

CDN이란?

CDN은 원본 서버(Origin Server)의 콘텐츠(이미지, 동영상, CSS, JS 파일 등)를 복제하여 전 세계 곳곳에 분산된 캐시 서버(Cache Server 또는 Edge Server)에 미리 저장해두는 네트워크 시스템입니다.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CDN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캐시 서버에서 콘텐츠를 전송해 줍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거리를 물리적으로 단축시켜 웹 로딩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합니다.

CDN 작동 원리

CDN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CDN의 주요 이점

  1. 웹 사이트 로딩 속도 향상: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므로 데이터 전송 지연(Latency)이 크게 줄어듭니다. 이는 사용자 경험(UX) 개선과 이탈률 감소로 이어집니다.

  2. 원본 서버 부하 감소: 이미지나 동영상 같은 용량이 큰 정적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캐시 서버가 대신 처리하므로, 원본 서버는 동적인 콘텐츠 생성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원본 서버의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3. 트래픽 급증에 대한 대응: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Traffic Spike) 시에도 전 세계에 분산된 캐시 서버가 트래픽을 흡수하므로, 원본 서버가 다운될 위험을 줄여 서비스 안정성을 높입니다.

  4. 보안 강화: 많은 CDN 서비스는 DDoS 공격 방어, 웹 방화벽(WAF) 등의 보안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여 원본 서버를 보호합니다.

CDN 도입 효과

CDN은 속도, 안정성, 효율성을 모두 높여줍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글로벌 서비스는 CDN을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Akamai, Amazon CloudFront, Cloudflare 등 다양한 CDN 서비스가 있으며, 서비스의 규모와 특성에 맞는 CDN을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더 빠르고 안정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댓글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