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 소요

안전한 서버 운영을 위해서는 외부의 비인가된 접근이나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보안 솔루션이 바로 방화벽, IDS, IPS입니다.

방화벽 (Firewall)

방화벽은 네트워크 보안의 가장 기본적인 장비로, 미리 정해진 규칙(Rule)에 따라 외부와 내부 네트워크 간의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마치 건물의 출입을 통제하는 경비원과 같습니다.

  • 주요 기능: IP 주소, 포트 번호,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접근을 제어합니다.
  • 한계: 허용된 포트를 통해 들어오는 트래픽 내부의 악의적인 데이터(예: 웹 공격)까지는 탐지하기 어렵습니다.

방화벽 개념도

네트워크의 문지기, 방화벽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침입 탐지 시스템

IDS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시하여 악의적인 활동이나 정책 위반을 찾아내고, 이를 관리자에게 경고(Alert)하는 시스템입니다. 트래픽을 직접 차단하지는 않고, 탐지하고 보고하는 역할을 합니다.

  • 특징: 기존 네트워크 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추가할 수 있습니다. (수동적 대응)
  • 비유: 건물 곳곳에 설치된 CCTV와 같습니다. 침입을 감지하고 녹화하지만, 직접 막지는 못합니다.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 침입 방지 시스템

IPS는 IDS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개념입니다. 침입을 탐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트래픽을 능동적으로 차단(Block)하여 공격을 방지합니다.

  • 특징: 방화벽처럼 네트워크 인라인(In-line)에 위치하여 실제 트래픽 경로에 개입합니다.
  • 비유: CCTV가 침입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문을 잠그고 경보를 울리는 시스템과 같습니다.

IDS와 IPS의 차이

탐지만 하는 IDS, 차단까지 하는 IPS

요약

구분 역할 동작 방식
방화벽 정해진 규칙에 따라 트래픽 허용/차단 접근 제어 (IP, 포트 기반)
IDS 비정상 트래픽 탐지 및 경고 모니터링 (수동적)
IPS 비정상 트래픽 탐지 및 차단 인라인 차단 (능동적)

최근에는 이 기능들이 통합된 차세대 방화벽(NGFW, Next-Generation Firewall)이나 UTM(Unified Threat Management) 장비를 사용하여 더 효율적이고 다층적인 보안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댓글남기기